* 이 글은 참고용으로만 생각해주세요. 투자판단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. [종목추천이 아닙니다.]

현재 국내 코로나 확진자수는 8월 22일 15만 명을 최대 확진자 수로
9월 18일 기준 1만 9천 명 정도로 약 85% 이상 감소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.
이전 정부 통제하에 이루어졌던, 영업시간 및 집합 금지, 공공시설 이용제한 등의 조치가 점차 완화 및 해제되어
일상 회복 및 위드 코로나의 시대로 돌아오고 있습니다.
그래서, 항공 및 스포츠, 유통, 여행, 호텔, 카지노, 엔터, 화장품 등의 여러 일상 회복 관련 테마주식들이 상승을 하려는 모습을 보이려고 하고 있습니다.
그중에서도 저는 화장품 테마에 조금 더 관심을 가져보기로 하였습니다.

그 이유는, 실내 마스크를 벗게 된다면 그동안 하지 않았던 화장을 하기 시작하게 되면서,
화장품 업계에 대한 실적 향상 모멘텀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.
거기에, 현재 한류의 확산이 전 세계적으로 호평을 받기 시작하면서, 한국인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였고,
K-뷰티 또한 휴대폰보다 많은 수출을 이루어내며,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.

아모레퍼시픽, LG생활건강은 K-뷰티의 해외 수요가 꾸준히 커졌지만, 유통을 더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현지의 브랜드를 인수하면 이를 극복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, 세계시장에 대한 본격적인 도전을 알리며 K-뷰티의 성장을 촉진하고 있습니다.
이러한 상황속에 실내에서도 마스크를 벗어도 된다면, 자신의 개성을 충분히 뽐낼 수 있는 개성 있는 시대에 다시 뷰티의 제2막이 열리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
마스크 제한 해제 -> 민낯 -> 화장 필요 -> 화장품 소비 -> 수요 증가 -> 실적 증가
로 이루어지기 때문에, 주가 상승을 가져올 것입니다.
화장품 관련주로는 잇츠한불, 청담글로벌, 씨앤씨인터내셔널, 아모레퍼시픽, 클리오, 코스맥스, LG생활건강, 한국콜마, 토니모리, 코리아나 등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그중에서 "클리오" 종목을 살펴보겠습니다.
1. 클리오는 화장품 및 화장도구의 판매 및 유통사업 추진 등을 영위
2. 코스맥스, 한국화장품제조, 씨앤씨인터내셔널 등 국내외 OEM/ODM 업체를 활용

3. 코로나 시국에도!! 상승한 매출핵, 영업이익, 당기순이익
-> 이는 원가율 상승에도 매출이 증가하였습니다.
4. 새로운 원재료를 사용한 신상품의 출시와 기존 상품의 업그레이드를 지속적으로 진행 [변화, 성장]

5. 7월 미국 아마존 프라임데이 에서 전체 화장품 순위 13위 ! 매출 폭증의 호재
-> 국외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는 잠재력을 보이고 있습니다.

6. 해외뿐 아니라, 국내 "올리브영"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.


7.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, 중국의 광군제가 추후 예정되어 있으므로, 과거에도 엄청난 매출액을 보여줄 수 있었습니다.

8. 기관 [보험, 투신] 및 외국인도 냄새를 맡고 점차 이 종목을 매수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가 보입니다.
-> 그동안 상승했던 태조이방원 [태양광 조선 이차전지 방산 원자력] 의 조정이 오고 있습니다. 이에 다른 테마가 올 준비를 하고 있다고 예측해 볼 수 있겠습니다.
이렇게 마스크 해제로 인한 화장품 수요의 증가와 세계 쇼핑 이벤트 및 코로나로 인한 보복 소비의 시너지가 곂쳐진다면, 화장품 업계에 대한 이슈가 나올 것이라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.
이상. 화장품 테마주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를 나열해 보았습니다.
'주식 관심종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"철강" 상승 종목 체크 [하이스틸, 문배철강, 대동스틸, 부국철강, 금강철강, NI철강, 한일철강, 동일제강] (32) | 2022.10.07 |
---|---|
대마[마리화나] 규제 개선 상승할 종목 체크 [오성첨단소재, 메디콕스, 우리바이오] (37) | 2022.10.03 |
알츠하이머 테마 상한가 종목 분석 [엔젠바이오, 피플바이오, 현대약품] (26) | 2022.10.02 |
알츠하이머!? 이 테마는 왜 부각되는가? [젬백스] (17) | 2022.10.01 |
삼성, ARM 인수 기대감 지속 관련 테마주 [앤비디아, SK하이닉스, 삼성전자, M&A] (6) | 2022.09.25 |